삼초(三焦)

1. 상초(上焦)-위(胃)의 상구(上口),분문에서 설하(舌下) 흉부, 심폐(心肺)-운화(運化)작용(作用) 기(氣), 혈(血), 진액(津液)을 골고루 퍼지게함, 무(霧), 안개와 같다.

기를 전신에 분포, 피부에 까지 이르게함

납(納) 받아드림, 공기와 음식물을 받아들임

2. 중초(中焦)- 위(胃)의 상구에서 위의 하구(下口)까지

상복부, 비위(脾胃)-음식물을 소화, 영양섭취

구(漚)물거품, 음식물을 운화(運化)하고 기혈진액을 활성화

음식물을 변화시켜 기혈진액의 영양성분으로 바꿈

3. 하초(下焦)- 위(胃)의 하구에서 이음(二陰)까지

하복부, 간(肝) 신(腎) 대장(大腸),소장(小腸), 방광(膀胱)

독(瀆) 도랑과 같다. 배설기능

수액의 방광으로 보내고, 청탁의 분배, 대소변배설

4. 삼초와 심포락(心包絡)-표리관계

삼초는 장부의 밖을 지키고, 심포락은 심장의 밖을 지킨다.

5. 명문(命門)의 화(火)-부신피질호르몬

삼초(三焦)의 부위

1. 상초(上焦)-흉중(胸中) 황막(명치끝肓瞙) , 힁경막위쪽

안개와 같다-기(氣) . 양기를 내어서 피부와 분육(피부와 골의 중간의 살)사이를 따듯하게 해서 무로(안개霧이슬露)가 증발하는것 같다.

심장아래, 힁격막, 위의 상구에서 주로 받아들이는 기능을 한다. 전중혈하 1.6촌으로 양 젖가습의 함몰된 부위이다.

2. 중초(中焦)- 황막아래 배꼽위쪽

거품과 같다=기혈을 나눈다.. 수곡을 변화시켜서 그 정미한 기운이 위로 폐에 유주하고 혈이 되어 경맥을 운행하고 오장을 영양을 공급하여 전신을 순환하게 하는 법이 마치 거품과 같다..

위의 중완을 주관하여 음식물으 소화하므로 주관은 배꼽양쪽에 있다.

3. 하초(下焦)- 배꼽아래부위

도랑과 같다-혈(血), 대소변을 통리(通利)하여 적기에 내보내고 배출하면 다시 받아 들이지 않고 막는 것을 도랑과 같다고 하였다.

배꼽아래와 방광위에 있어서 청탁을분별하여 배출하는 전도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부위는 배꼽아래 1촌이다.

4. 삼초의 부는 기충(氣衝)에 있다.

삼초(三焦)의 임무, 전수(傳受)

상초= 위의 상구, 인후이상을 아울러서 흉격을 관통하여 가슴의 전역에 걸치고 겨드랑을 거쳐서 태음의 분(分)을 따라 양명에 돌아오고 위로 위로 설하의 족양명에 이르러서 항상 영과 더불어 양의 25도 운행하여 또 음의 25도에 운행하여 일주하고 회복하여 다시 수태음에 대회(大會)하는데 이것을 위기(衛氣)

중초=위중으로 부터 상초의 뒤를 거쳐서 기를 받아 조박(지게미糟粕)을 분비하고 진액을 춘증함으로써 정미한 것을 변화시켜 위로 폐맥에 보내면 이것이 혈이 되어 신체를 보충한다.경맥을 따라 운행하므로 영기(榮氣)라고 이름한다.

하초=회장(廻腸)을 둘러서 방광에 주입하기 때문에 수곡이 항상 위중에 정체하여 조박을 만들어서 대장에 전하고 하초의 근원을 만들어 삼투하고 분비하여서 즙을 보내서방광에 이르게 된다.

심폐-상초에서 영위(榮衛)주관, 비위가 중초에서수곡을 주관, 간신이 하초에서 진액을 소통시킨다.

삼초는 수곡의 도로이며 기의 종시(終始)이며 동시에 무형의 용체로써 모든 기를 주지(주제主지속持)한다.

교감신경

교감신경계통(sympathetic nerve, SNS)은 교감신경이라고도 불리며 부교감신경계통과 함께 자율신경계통을 이루는 원심성 말초신경계통이다. 교감신경은 부교감신경과는 길항작용의 관계에 있어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맥박 증가, 혈압 상승, 소화 억제 등 몸이 위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긴장된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반응을 싸움-도주 반응(Flight-or-Fight Response)라 한다.

중추는 척수의 흉요부측각에 있으며 혈관이나 내장에 들어간다. 이때 척수에서 기관까지는 두 개의 뉴런으로 연결되는데 척수에 가까운 뉴런을 절전 뉴런, 기관에 가까운 뉴런을 절후 뉴런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교감신경은 절전 뉴런이 절후 뉴런보다 상대적으로 짧다. 부교감 신경의 경우 이와 반대이다.

싸움주도반응

흉수 위에서 나오는 경부 교감신경은 경부와 뇌의 혈관에 분포하며 안구 돌출, 타액 분비를 일으킨다. 또한 제 1~4 흉수에서 나오는 교감신경은 심장에 분포하여 맥박 증가, 혈압 상승, 관상동맥확장 등을 일으키며 제 5 흉수와 제 1 요수로부터 나오는 내장 교감신경은 흉부 내장의 혈관을 수축시켜 위장에서의 소화운동과 소화 효소분비를 억제한다. 제 1~4요수에서 나오는 교감신경은결장, 방광민무늬근 이완, 괄약근 수축, 혈관 수축등을 일으킨다. 제 3 흉수와 제 4 요수로부터 나오는 것은 피부 혈관의 수축, 입모근의 수축, 분비 촉진 등을 일으켜 갑상선, 부신수질, 이자등의 분비에 관계한다. [1]

부교감신경

부교감신경계통(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SNS)은 부교감신경이라고도 불리며 교감신경계통과 함께 자율신경계통을 이루는 원심성 말초신경계통이다. 부교감 신경은 교감 신경과는 길항작용의 관계에 있다. 부교감 신경이 흥분하면 맥박 감소, 혈압 감소, 소화 촉진 등 몸이 편안한 상태가 된다.

중추는 뇌줄기척수천골 부위에 존재하여 뇌줄기에서 나온 부교감 신경은 뇌신경으로 들어가고 천골 부위에서 나온 부교감 신경은 골반 기관을 조절한다. 이때 중추에서 기관까지는 두 개의 뉴런으로 연결되는데 중추에 가까운 뉴런을 절전 뉴런, 기관에 가까운 뉴런을 절후 뉴런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부교감신경은 절후 뉴런이 절전 뉴런보다 상대적으로 짧다. 교감 신경의 경우 이와 반대이다.

교감 부교감신경작용

기관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동공 팽창 수축 α

침샘 점액, 효소분비 물 분비 α,β₂

심장 수축력, 맥박 증가 맥박 감소 β₁

세동맥 수축 혹은 확장[2] X α,β₂

폐 세기관지 확장 세기관지 수축 β₂

소화관 운동성,소화효소 분비 감소 분비 증가 α,β₂

췌장 소화효소,인슐린 분비억제 분비 촉진 α

부신수질 카테콜아민 분비 X

신장 레닌 분비 증가 X β₁

방광 오줌 방출 억제 오줌 방출 촉진 α,β₂

지방조직 지방 분해 X β

땀샘 땀 분비 촉진 X α

생식기 사정 촉진 발기 촉진 α

자궁 주기에 의존 주기에 의존 α,β₂

림프조직 일반적으로 억제성 X α,β₂

시상하부

사람 뇌의 아랫면을 보면 시신경교차가 먼저 눈에 띄고, 그 뒤쪽에 뇌하수체로 연결되는 누두(漏斗)가 돌출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회백융기와 유두체가 나란히 있다. 이 시신경교차에서 유두체에 이르는 사이가 시상하부이다. 뇌를 정중선에서 절단하여 안쪽을 보면 제3 뇌실의 주위 하반부가 시상하부에 해당한다. 이 영역에는 무수한 뉴런(신경세포)과 신경섬유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데, 그중에서 뉴런 집단이 비교적 뚜렷한 곳을 핵(核)이라고 한다.

자율신경계의 여러 가지 기능을 조절하는 중추가 있고, 그 아래에 있는 뇌하수체와 상호작용하여 내분비계와 관련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는 신경 및 화학적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시상하부의 신경로는 뇌하수체 후엽을 자극하여 순환계와 생식계의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호르몬인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을 분비하도록 한다.

시상하부는 문맥을 통하여 뇌하수체전엽으로 여러 호르몬들을 분비함으로써 성장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및 기타 주요한 뇌하수체 산물을 분비를 조절하도록 뇌하수체를 자극한다.

시상하부는 개인의 체중 증가에 대한 안정적인 '기준점'을 세워놓음으로써 체내 열량섭취와 체중조절에도 영향을 미친다.

외부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체온을 조절하고, 각성상태와 수면을 결정, 수분의 섭취와 갈증도 조절한다.

정서기능: 부위에 따라 분노, 싸움, 포만감,섭식장애, 공포반응, 성적욕구, 음식, 물을 먹지 않음, 과식, 과음, 이 나타난다.

기능이상시 뇌하수체기능부전이나 요붕증(diabetes insipidus)의 증상 불면증이나 체온의 비정상적인 변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시상

뇌의 5개 부분 중 하나인 간뇌(間腦)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구조이다. 시상은 뇌간(腦幹)과 전뇌 사이에 위치하고, 고삐(habenula)와 송과선을 포함하는 시상상부(epitha-lamus), 자율신경과 연결된 시상하부(hypothalamus)와 연결되어 있다. 시상은 많은 신경핵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겉으로 볼 때에는 두 개의 작은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이 좌우 대뇌반구에 하나씩 자리잡고 있다.

주요 기능은 후각 이외의 여러 수용기에서 대뇌피질로 전도되는 감각의 임펄스를 중계하는 중계핵으로서 작용한다. 이들 중계핵 중 시상의 후복부에 있는 핵군은 체성감각을 중계하며, 시각과 청각은 각각 시상후부의 핵군에 속하는 외측슬상체와 내측슬상체에서 중계한다. 또한 중심부의 핵군은 상행성망양체부활계를 중계하기 때문에 시상은 의식의 생리학적 메카니즘에 대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외에 시상은 신경섬유결합에 의해 대뇌피질과 대뇌기저핵과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운동기능을 억제 또는 촉진하고 있다. 또 대뇌피질과 시상하부와의 사이에 있어 정동(情動), 감정의 발현메카니즘에 대하여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시상에는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이 있다. 시상은 각종 수용기로부터의 신경충격을 대뇌피질로 전달하는데, 그곳에서 신경충격은 깨어 있는 동안 촉각·통증·온도 등의 적절한 감각으로 경험된다. 또한 시상은 휴지상태 중에는 시냅스 전달, 즉 들어오는 충격을 조절하는데, 이러한 조절은 긴 휴지기 이후에 오는 폭발적인 신경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변연계

대뇌변연계(大腦邊緣系, limbic system)는 대뇌반구의 안쪽과 밑면에

이상엽(梨狀葉) ·해마회(海馬回) ·대상회(帶狀回) ·후안와회(後眼窩回) ·측두극(側頭極) ·편도핵(扁桃核) ·중격핵(中隔核) 등이 포함된다. 구피질고피질로 이루어지고 정동형성(情動形成)의 자리이며, 개체 및 종족유지에 필요한 본능적 욕구와 직접 관계가 있으므로 ‘본능의 자리’라고도 한다. 뇌파의 패턴은 신피질과 매우 다르다. 시상하부와 밀접하게 연결이 되어서 시상하부가 받아들인 충동이 여기서 통합된다. 즉, 간뇌 시상하부의 기능을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를 자극하면 체성운동계 및 자율계에 넓은 범위로 영향을 미치고, 식욕 ·성욕 등의 욕구행동에 일련의 영향을 나타낸다. 해마회 ·편도핵의 부위는 신피질인 측두엽과 나란히 기억에 관계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서활동, 자율기능조절에 관여

수면, 섭식, 성욕, 기억, 학습, 감정, 공격적행동 , 동기유발등의 기능

1952년 맥린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포유류의 오래된 뇌"로 알려졌다. 이 부분이 자극이 되면 특정 생각과 감정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부분은 반드시 신피질과 연관되어야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삼초의 외증(外症)

비주(鼻기둥柱)의중앙이 볼록하게 일어나면 삼초가 집약(集約), 맺힌것이다.

신은 골에 응하므로 살갗이 조밀학 피부가 두꺼우면 삼초방광이 두텁고

살갗이 굵고 피부가 피부가 얇으면 삼초방광이 얇고

주리(腠理)가 성글면 삼초방광이 완하고

피부가 급하고 호모(가는털毫毛)가 없으면 삼초방광이 급하고

호모가 아름답고 굵으면 삼초방광이 곧 호모가 드물면 삼초방광이 맺혀있다

삼초의 증세(症勢)

삼초가 병들면 배가 기만(氣滿)하고 아랫배가 더욱 딴딴하여서 소변이 어렵고 급하며 그것이 넘치면 수류(水머물留)즉 창(脹)이된다. 아랫배가 아프고 부어서 소변을 못하는것은 삼초가 맺혀서 사(邪)를 보내기 때문이다.

상초가 안개와 같다는 것은 안개가 흩어지지 않으면 천만(喘滿)이 되니 내보내기만 하고 받아들이는것이 없는것이다.

중초가 거품과 같다는 것은 거품이 이(利)하지 않으면 유음(머물留마실飮)이 되고 유음이 흩어지지 않으면 중만(中滿)이 되어 위에서받아들이지못하고 밑으로 내보내지봇하는 것이다.

하초가 도랑과 같다는 것은 하초가 흘러내리지 않으면 창만이 되고 위에서는 받아들이지만 아래에서 내보내지 못하는것이다. 하초가 넘치면 수(水)가 된다.

삼초가 병화(丙火)의 부(腑)가 되니 발(發)하면 무근(無根)의 상화(相火)가 된다.

삼초(三焦) 치법(治法)

삼초는 결독(決瀆)지관 수도(水道)출언이다. 구별하여 내보내고 수분을 내보내는 것이다.

삼초는 상, 중, 하의 수곡의 도로이므로 병들면 대,소변을 잘통하게 해야한다

단방

황기, 연복자(燕覆子), 우수(牛髓), 익지인(益智仁), 지마유(脂麻油), 첨과(달甛瓜), 인삼, 황구(黃狗)육(肉), 순육(메추라기鶉肉), 청귤(靑橘),연근(蓮根), 저장(돼지猪腸), 사순(絲순채蓴)

자신의 사상체형,사상체질에 맞는 그림을 눌러보세요, 자세한 체질과 특성이 나옵니다.

사상체질(다이어트)전문 우리한의원

디스크(사상체형교정,통증)전문 우리들한의원

대한한의동통학회 회장

대표원장 김 수 범 한의학박사

www.wooree.com www.iwooridul.com

안드로이트폰 무료앱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