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과 비만, 사상체질과 부종 ※ KBS 2TV 아침 뉴스타임 김수범 원장님 인터뷰 2012년 6월18일 오전 8시 방송 방송내용클릭 : http://news.kbs.co.kr/tvnews/news_8am/2012/06/19/2489794.html <인터뷰> 김수범(한의사) : “뭔가 순환이 잘 안 되니까 물은 남들하고 비슷하게 먹는데 그게 배설이 안 되니까 많이 붓는 거죠. 운동하든지 순환을 시켜서 땀으로 내보내든 소변으로 내보내든 내보내야 해요. 안되면 물 먹는 것도 병이 되는 거죠." Q1. 부기란? 손발, 얼굴, 복부 등에 체액이 과다하게 고이는 것 심장의 기능이 약하고 혈액순환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발얼굴등의 말초에서부터 부어오고, 신장의 기능이 안 좋아서 오는 부종은 복부에서부터 부종이 옵니다.
Q2. 부기의 원인은? 신장의 기능저하, 이뇨작용이 안됨, 신증후군, 사수체신염,, 심장의기능저하, 말초혈액순환이 안됨 간경변증: 간기능이 안되면 복부가 차면서 전신에 부종발생 임신부종, 갑상선기능저하, 당뇨병말기등의 원인 ,
중요한 것은 수분섭취를 줄이는 것 짠음식, 고열량의 음식, 육류, 매운음식,, 갈증이 나며 ,물을 많이 먹어야 편함
Q3. 부기는 어떤 잘못된 자세나 음식으로부터 오나요? 1. 얼굴 부기를 부르는 자세 또는 음식 얼굴의 부기 화와 열이 많이 오르는 경우, 얼굴이 붉은 경우 일자목이며, 머리가 앞으로 나가는 경우=> 머리로 올라간 혈액이 잘 안내려 오면서 부기로 변한다. 비만한사람, 복부비만이 점점 위로 올라옴=전체적인 살을 빼는 것이 중요,
술, 육류 기름진 음식, 짠음식, 매운음식, 과식, 스트레스, 열받는 것
2. 다리 부기를 부르는 자세 또는 음식 부기가 오는 것 오래 서있는 것, 오래 앉아 있는것 골반의 모양에 따라 다르다. 골반이 바르지 않으면 위로 올라가는 혈액이 원활하지 않아서 부종이 생긴다. 골반이 앞으로 기우는 경우, 오리궁뎅이 골반이 뒤로 기우는 경우, 엉덩이가 없는 경우, 좌우의 골반의 높이가 다른 경우,: 짝궁뎅이 한쪽의 다리에 저리면서 부종이 올 수 있다. => 앉아있을 때는 양반다리가 좋나요?-오다리, 안짠다리를 하는 경우 좋다. 무릎 꿇고 있는 게 좋나요? 팔자걸음, 다리가 벌어지는 경우에 좋다.
Q4. 부기를 줄일 수 있는 개선 자세가 있다면요? => 얼굴부종, 머리를 바르게 한다. 전후면과 좌우면 모두 바르게 한다. 좌우의 비대칭을 바르게 하여 준다. 고치법- 아랫잇빨과 윗이빨을 맞춘다. 아니면 아래턱을 약간 앞으로 내면 고개가 뒤로감, 목의 커브를 만들어준다. 일자목이 많음, 뒷목을 잡고 한다. 컴퓨터작업을 할때는 눈 높이가 모니터의 중간 아래가 되게 한다.
요즘은 스마트폰, 탭. 패드, 컴퓨터등을 많이 봐서 일자목을 넘어 반대로 꺽인경우가 많음 옛날에는 자동차사고로 머리가 머리가 앞으로 갔다가 뒤로 가면서 생긴는 증세
짠음식, 매운음식, 고열량의 음식, 과식을 피함, 얼굴부종만 있는 경우는 열받거나 긴장하는 것을 피하고 머리를 흉곽의 중심에 놓는다 어깨중심과 귀 뒤쪽이 일직선이 되게...
다리부종 골반이 바르게 되어 있어야 한다. 오리궁뎅이면 오리궁뎅이가 안되게... 엉덩이가 없으면 오리궁뎅이를 만든다. 한쪽다리의 부종인 경우: 좌우 골반의 높이를 맞춘다. 오래서있는 것을 피한다. 쉴때는 다리를 심장높이보다 높게 하고 눕는다.
보행시에 좌우의 보폭을 크게 하고 천천히 걷는다. 자연스럽게 좌우의 골반을 맞추어 준다. 하이힐을 신는 경우 골반이 앞으로 돌아가므로 피한다.
Q5. 혹시 저희가 부기가 어느 정도인지 실험 하려고 하는데요. 부기 잴 수 있는 아이템이 있을까요? 일단 얼굴은 두루마기 휴지로 다리는 줄자로 재보려고 하는데요.
부기를 눌러서 어느 정도 파이는가를 해볼 수 있고요... 적외선 체열진단을 하는 경우에 혈액이 적고 수분, 지방이 많으면 파랗게(체온이 다른 부위보다 떨어져) 나옵니다..(한의원 촬영가능)
한의학에서는 붓는 경우에 습(濕)과 담(痰)이 많다고 한다. 습이 많으면 그 부위의 저리거나 마비감이 있거나 아픈 경우가 많다. 습이 모여지면 담이 되며 담이 점점 모아지면 열(熱)이 생기고 통증이 온다고 하였다. 흔히들 “일기예보”라고 하는 사람들은 주로 습과 담이 많은 경우가 많다. 습과 담이 많으면 날씨가 흐리거나 찬 경우에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기 때문에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기 전에 미리 신체에서 아픈 증세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 부종으로 인하여 핏속에 있는 독소들이 소변이나 땀을 통하여 배설이 안 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오장육부와 피부에 나쁜 영향을 주기도 한다. 느긋하고 고집이 세고 무엇이든 잘 먹고 비만한 태음인은 습과 담, 열이 많고 기혈의 순환이 안되어 부종이 많이 온다. 체질적으로 무엇이든 잘 흡수하는 반면에 배설의 기능이 잘 안되므로 몸 안에 쌓아두는 것을 좋아한다. 무엇이든 잘 먹고 비만한 경우에 습과 담이 많으므로 기혈의 순환이 안되고 심장에도 부담을 준다. 신장의 기능이 나빠서 오는 부종보다는 심장의 기능이 약하여 오는 말초순환이 안되어 오는 부종이 많다. 또한 간의 열이 많이 쌓이게 되면 간기능이 저하가 되면 간으로 혈액이 들어가지 못하여 복부의 부종이 오게 된다.
자신의 사상체형,사상체질에 맞는 그림을 눌러보세요, 자세한 체질과 특성이 나옵니다.
사상체질(다이어트)전문 우리한의원 디스크(사상체형교정,통증)전문 우리들한의원 대한한의동통학회 회장 대표원장 김 수 범 한의학박사 |
부종과 비만
Selection | File type icon | File name | Description | Size | Revision | Time | Us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