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식증 거식증

폭식증,,,거식증...그리고 정신심리....

비만의 적, 폭식증,,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체질은 ?,

비만환자들에게 힘든 것은 무엇일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많이 먹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여 먹는 양이 적고 배설되는 양이 많다면 살이 찔 이유가 없다. 많이 먹더라도 활동양이 많거나 소모되는 양이 많거나 배설되는 양이 많으면 살이 찌지 않는다. 비만환자의 경우에는 먹는 양에 비하여 배설되는 양이 적은 것이 문제다. 또 배설은 되더라도 너무 많이 먹는다면 살이 안 찔 수 없다. 바로 폭식증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1끼, 2끼의 식사를 하지 않고 식사를 할 때에 배가 고파서 폭식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배가 부르면 멈추고 다음 식사에서 폭식이 생기지는 않는다. 폭식을 하였더라도 몸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문제는 주기적으로 폭식을 하는 것이 문제다. 다이어트를 한다고 굶어서 살이 빠졌다가 다음 식사에서 폭식을 하는 것이다. 한 두 끼를 굶어서 살이 빠졌다가도 한번의 폭식으로 다시 살이 찌는 것이다. 살이 빠지면 괜찮은데 살이 더 찌는 것이 문제다. 폭식증이 반복이 되면 식욕을 참지 못하여 3끼 이상을 폭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먹을 때 마다 많이 먹게 되니 살이 급속도로 증가를 하여 고도 비만에 이른다. 식욕을 억제를 하고 싶어도 억제가 안 될 때는 포기를 한다.

폭식증은 왜 생기는 것일까?

폭식증이 생기는 것은 이미 병적인 증세로 변한 것이다. 몸이 건강한 상태에서는 몸 안에 에너지가 충분하다고 하면 몸에서 음식을 거부하게 된다. 항상 몸의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요즘 현대인들에게 생기는 것은 스트레스로 인하여 오는 폭식증이 많다.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마음에 내키지는 않고 화가 나도 어쩔 수 없이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스트레스, 분노, 억울함, 화병 등이 해결이 안 되면 몸 안에 화와 열이 생긴다. 이러한 화와 열이 없어지지 않고 음식을 먹는 것으로 해결한다. 상당수의 비만환자 중에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갑자기 식욕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고 고도비만도 많다.

정신분석적인 면에서도 온다. 입은 외부세계와 내부세계가 만나는 지점이다. 먹는다는 것은 음식을 나와 합쳐지는 것이다. 나로써 받아들인다는 면도 있다. 자신에게 심리적으로 무의식적으로 무언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 배가 많이 불러있는데도 부족한 것을 느끼면 계속 먹는 것이다. 통제할 수 없는 강박처럼 작용을 한다.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성충동의 하나인 구강충동을 만족시킨다. 자신에게서 떨어져 나간 대상이나 젖가슴을 채우기 위하여 빈자리를 음식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떨어져 나간 대상이 만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 조금만 더 먹으면 도달 할 것 같은 믿음에서 폭식이 생긴다.

사상체질적으로도 폭식증이 비만에 영향을 준다.

가장 폭식이 심한 경우는 태음인이다. 태음인들은 무엇이든 잘 먹고 식사의 양도 많다. 욕심도 많아 많이 먹어도 만족을 못한다. 배설을 하는 것 보다 먹는 양이 많아서 살이 찐다. 다음은 소양인들이다. 소양인은 열이 많아서 바로 기분 나쁜 것이 있으면 바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여 풀어버린다. 그러나 주위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을 발설하지 못하는 경우에 열로 변하여 폭식을 하게 되며 비만이 된다. 다음은 소음인이다. 소음인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을 하면 식욕이 떨어지면서 소화가 안되고 먹지를 못하고 마른다. 그러나 긴장, 분노, 화가 계속 누적이 되면 울광증으로 변하여 열이 발생한다. 위장 자체가 작아서 많이 먹지는 못해 살이 찌는 경우는 적다. 태양인은 화가 올라가면 참지 못하고 음식을 많이 먹는다. 그러나 화가 너무 오르기 때문에 위장에 흡수가 되지 않고 모두 토하게 된다. 바로 토하거나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기도 한다. 폭식증이 있어도 비만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거식증 ,,, 꼭 다이어트만일까 ? 정신적인면의 문제는?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중의 하나가 거식증이다. 이것은 단순히 살을 빼기 위한 일시적인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심각한 것은 정신적인 문제로 인하여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트를 하기 위하여 식사를 줄이고 고열량의 음식을 먹으면 뱉어내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가도 어느 정도 살이 빠져 목표에 도달하면 식사를 하며 일상생활에 복귀한다.

그러나 병적으로 오는 거식증은 살이 빠져도 거식증을 멈출 수 없으며 죽음에 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거식증환자의 증세를 알아보자. 크게 나타나는 증세는 첫째 식사를 거부하는 것이다. 둘째 마른 몸매에 대한 집착이 강하며 마른 이미지를 추구한다. 셋째는 무월경의 증세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첫째 왜 음식을 거부하는 것일까? 무의식적으로는 음식을 거부하는 것이다. 외상으로 인하여 충격을 받은 경우에 이것이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하는 증세로 나타날 수 있다. 또 음식을 집어 삼키는 것에 대한 불안감, 대상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을 집어삼키는 내가 무섭거나 나 자신이 그것이 되어 버린다는 불안감이다. 음식물이 인체 내로 들어와서 자신이 된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수 있다.

둘째 마르는 이유는 외모에 대한 선망이 있다, 현대의 많은 사람들이 날씬하고 마른 것을 선망하는 것에 대한 갈망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날씬한데 자신은 항상 쪄 있다고 생각을 한다. 자신의 외모에 이상을 정하고 자기의 만족이 안 되는 경우다.

셋째 무월경증은 사춘기에 2차성징이 나오면서 발생한다. 생리가 나오면서 이제 자신은 소녀이면서도 엄마가 되거나 아기가 생길수 있는 나이가 되었다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때 월경이 안 나옴으로써 안정감을 찾고 위안을 느낀다.

거식증이 생기는 데는 상대가 있는 경우가 많다. 부모이거나 관련된 사람일 수 있다. 한예로 부모가 해주는 것에 대하여 거부를 하는 것이다. 부모가 해주는 것에 대하여 사랑이라고 느끼는 것 보다는 의무라고 느끼는 것이다. 또한 종속의 의미로 생각을 한다. 비만해지는 것은 부모의 말을 잘 듣는 것이라고 복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식욕에 굴복이며 부모에 대한 굴복이라고 생각을 한다. 반면에 마른다는 것은 부모에게서 벗어나는 독립이라고 생각한다.

거식증자는 부모의 육망을 더욱 거절하기 위하여 더 다이어트를 하여 말라가며 심지어는 이렇게 사라져 가는 것에 만족을 느낀다. 즉 부모나 타자에 대한 반감으로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다. 자신의 외모를 볼모로 하여 부모나 타자를 협박하는 면도 있는 것이다.

거식증의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정신병적인 거식증은 치료가 쉽지가 않다. 본인이 점점 말라가고 죽어가는 데에 대하여 스스로 불안해하지 않으며 만족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거식증이 치료가 되기 위하여서는 정신적인 외상의 원인이 된다면 그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이 되어야 한다. 부모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랑이 의무로 느껴져서는 안되며 부담이 되면 안 된다.

치료가 되기 위하여서는 자신이 거식증이며 말라가는 것에 대하여 불안한 느낌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자신이 말라가는 것에 대하여 부모나 다른 사람이 불안해 하는것에 만족은 한다면 치료가 힘들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서는 환자와 부모사이에 제3자의 개입이 있어야 하며 부모도 환자의 거식증에 대하여 불안해하지 않으며 대담한 대처가 필요하다.

자신의 사상체형,사상체질에 맞는 그림을 눌러보세요, 자세한 체질과 특성이 나옵니다.

사상체질(다이어트)전문 우리한의원

디스크(사상체형교정,통증)전문 우리들한의원

대한한의동통학회 회장

대표원장 김 수 범 한의학박사

www.wooree.com www.iwooridul.com

안드로이트폰 무료앱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