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진(望診)-신의(神醫) 환자의 신(神), 색(色), 형(形), 태(態)를 살핌 신(神)-정신활동, 눈빛, 기의강약. 색(色)-오장기혈의 외영(外營), 기혈의 성쇠(盛衰)와 질병의 변화관찰 형(形)-형체(形體), 외형, 태(態) 동태(動態), 움직임을 살펴서 진단하는것.
안면
어느 색이나 윤기가 있고 맑아야,
얼굴색: 붉으면-열, 푸르면-간기능, 황색-소화기, 백색-폐, 검은색-신
설(舌)과 태(苔)-설질:홍윤(紅潤), 설태:너무건조하지도 습하지도않아야,
심장의 상태, 적색-심열, 자색,청색-어혈, 주독(酒毒) 흑색-생명위험,
설태: 백색-풍한(風寒) 외감(外感), 습담(濕痰)
황색-습열(濕熱),
눈-간, 코-비장, 귀-신장, , 피부의 상태, 팔다리의 상태, 자세 등을 본다.
문진(聞診)-듣는것, 냄새맡는것
음성(音聲)
언어(言語), 호흡,
목소리 작으면 허증, 강하면 실증
냄새
환자의 몸에서 악취가 나면 몸의 상태가 안 좋은 상태다.
구취(口臭)-몸의 열이 많이 올라가면 발생, 치아주위병
대변의 냄새
독하면 열이 많은경우, 술, 육류, 단백질을 많이 먹는경우
문진(問診)-환자에게 물어서진료
망문절(望聞切)을 한후에 확인을 위하여 환자에게 물어봄
거주지역, 주거환경,생활지역, 건조, 습기, 열기, 한기등
주거, 식생활습관:
일하는 습관, 앉아 있는 자세, 생활습관, 사무직, 모니터,
먹는 습관: 인스턴트, 패스트푸드, 육류, 술,
많이 걷는가, 차를 많이 타는가등,
정신상태
스트레스, 긴장, 시험준비, 고부간의 갈등,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퇴직문제, 퇴직후의 상태,
과거병력, 직업병,
생리증세,,,땀, 소화, 대변, 소변, 갈증의 상태,
병리증세- 소화불량의 종류, 쓰린지, 더부룩한지, 아픈지등
통증의종류와 부위: 두통, 복통, 요통, 하지통,편두통
아픈지, 저린지, 마비감인지, 지속적인지, 간헐적인지.
절진(切診)- 손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방법
맥진(脈診)-체표에 나와있는 동맥을 진단하여 오장육부의 상태를 진단
맥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맥을 잡는 방법
요골동맥위를 잡음, 맥의 상태,동맥을 본다.
촌(寸)관(關)척(尺)
좌수: 심, 간, 신,,
우수: 폐, 비장, 명문,
맥상(脈象)-ㅊ
부맥(浮脈): 병이 표부에 있는경우
침맥(沈脈) 병이 깊이 있는경우
지맥(遲脈): 맥이 천천히 띈다. 한증,
삭맥(數脈)양맥, 열이 많은 경우
활맥(滑脈): 혈이 성하거나 임신중에는 활맥이 강함, 정상의맥
삽맥(澁脈): 혈액부족, 정(精)이 손상
허맥(虛脈):맥이 잘 안 잡히는경우, 체력저하
실맥(實脈): 화와열이 만은경우, 고혈압등
장맥(長脈): 넘치는 맥, 기역(氣逆)화성(火盛)
단맥(短脈): 맥이 짧게 끊어짐
홍맥(洪脈): 홍수와 같이 강하게 오는맥, 장대(長大)긴실(緊實) 하다.
미맥(微脈): 가늘고 약한맥, 기혈이 부족한 맥
긴맥(緊脈): 긴장되고 힘이 있다. 한증(寒症), 통증(痛症)
완맥(緩脈):느리면서 조화가 있다. 병이 회복되는맥
규맥(芤脈): 파의 관을 누르는것 같다. 겉은 있는데속은빈것, 각종출혈,
현맥(弦脈): 거문고 현, 긴장,스트레스,기울(氣鬱) 담음(痰飮) 간풍(肝風)
약맥(弱脈): 가늘고 약하고 침하다. 오랜병에 체력저하,
산맥(散脈): 맥이 뜨고 흩어지는맥, 신기가 쇠약,위독,
세맥(細脈): 실처럼가늘고 약함. 기허약, 습증,
복맥(伏脈): 깊이있는맥, 뼈에 닿아야 겨우 나타남, 병이 깊이 있는경우
동맥(動脈) 콩이 잡히는듯한맥, 통증, 놀랜증세에 온다.
촉맥(促脈): 맥이 급하게 오는것, 화가 많음
대맥(代脈): 맥이 뛰다가 한번 쉬는것, 과로, 심장이상, 부정맥(不整脈)
복진(腹診)-손으로 배를 눌러서진단
흉복부를 눌러서 진단
흉부: 스트레스, 화병, 긴장, 수험생, 직장인, 고부간의 갈등,
심하부위 : 위장.
배꼽부위: 소장
우하복: 과민성대장,
하복, 방광, 자궁등
좌하복,: 직장, 변비
최신진단방법
양도락: 심이경락을 측정하여 몸의 상태를 진단.
맥진기: 전자적 파형을 이용하여 맥을 진단하는 방법
사상체질진단:설문지, 안면분석. 체형분석, 음성분석
오링테스트, 근력테스트,: 생체반응을 이용
생혈구 검사, 혈액검사: 체혈을 하여 혈액의 상태, 생혈구의 모양진단
경피온열검사( 적외선체열진단)-
적외선을 이용하여 체표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 몸의 한열, 디스크의 신경누름진단(피절을 이용), 냉증, 열증, 중풍,
초음파진단기: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의 장기를 관찰
X-ray: 뼈의 상태, 척추의 구조, 체형분석, 구좋,장부의 상태, 진단.
CT, MRI: 내부장기의 힁단면을 측정, 디스크, 중풍, 각종암, 난치병
자신과 비슷한 사진을 누르면 자신의 사상체질을 알수 있습니다.^__^
사상체질(다이어트)전문 우리한의원
디스크(사상체형교정,통증)전문 우리들한의원
대한한의동통학회 회장
대표원장 김 수 범 한의학박사